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함

일본 엔화 약세 이유 3가지

by 휴식맨 2022. 4. 6.
반응형

일본의 엔화가 연일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오늘 환율 현황을 찾아보았다.

환율현황
환율 현황

달러는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이는데, 일본 엔화는 현재 984까지 떨어졌다.

기축통화인 달러와 함께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는 일본의 엔화가 왜 이처럼 약세를 보이는 것일까?

여러 글들을 찾아 읽어보니, 공통된 이유는 3가지였다.

 

■일본 엔화 약세 이유 3가지

♣엔화 약세 첫 번째 이유

일본의 양적완화 정책 때문이다.

-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긴축으로 정책을 전환한 것과는 반대로 일본은 양적완화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일본은행 총재인 구로다 하루히코가 직접 언급했다.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8%, 유럽은 6%에 가까운 반면 일본은 1%가 채 안 된다. 미국과 유럽이 금리를 올리는 등 통화정책에 나서는 것은 자연스럽지만 일본이 따라 할 이유는 전혀 없다"

만약 이 기조가 변하지 않는 한, 일본의 엔화는 약세가 지속될 것이다.

 

♣엔화 약세 두 번째 이유

국제 유가와 원자재가 상승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유가와 원자재가가 가파르게 상승했다.

위의 표에 나와 있는 유가를 참조하면 좋겠다. 두바이유가 103달러가 넘는다.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일본으로서는 수입 가격 부담이 경제에 굉장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엔화 약세 세 번째 이유

일본의 국제적 위상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미국과의 플라자 합의 이전에는 세계경제 비중이 15%를 차지할 정도로 막강한 경제강국이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그 자리는 고스란히 중국에게 내주고, 국가적 위상은 점점 내리막 길을 걷고 있다.

생산성 혁신이나 구조개혁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일본의 미래는 밝지 않다는 것이 대체적인 전망이다.

 


"위기 때는 엔화를 사라."

이제 이것도 옛말이 되어 버렸다.

일본을 바라보는 한국으로서도 표정이 밝을 수가 없다.

수출의존도가 높은 것이나, 인구비율 등 모든 것이 닮은 한국으로서는 똑같은 고민을 안고 있는 것이다.

 

현명한 지혜를 모아야지, 싶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