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함

비틱 아줌마? 비틱 뜻과 비틱 유래를 알아본다

by 휴식맨 2025. 1. 3.
반응형

비틱 아줌마?

모르는 단어를 만났다.

비틱.

나는 요즘 웹소설 '아포칼립스에 집을 숨김' 일명 '아집숨'을 읽고 있다.

아포칼립스에 집을 숨김 포스터
아포칼립스에 집을 숨김

뭔가 '아집숨'을 읽는다고 하면, 요즘 세대와 같을 결로 사는 듯한 느낌을 풍겨서 좋다. 나만의 생각일지도.

아무튼, 나는 이 소설을 좋아한다. 어제까지 212화까지 읽었다.

소설 속 김다람이 씩씩 댄다.

"비틱 아줌마? 어떤 새끼야."

 

도대체 '비틱'이란 말이 뭐길래, 김다람이 열불을 토하는 걸까?

내가 모르는 단어인 '비틱'에 대해 찾아본다.

■비틱 뜻과 유래

▶AI가 내놓은 답

-비틱은 남들을 교묘하게 속이는 행동을 의미하는 '기만의 비틱질'에서 확장되어, 자랑하는 행위를 뜻하기도 한다.

 

팍, 와닿지 않는답이다.

'비틱'도 모르는데, '비틱질'을 어떻게 안다고 이렇게 설명하지?

암튼 '비틱'이 남들을 속이거나 자랑하는 행위를 말한다는 의미란 것을 알았다.

하지만 좀 더 궁금하다.

어떻게 이 말이 생겨났는지, 그 유래와 자세한 뜻을 더 알아보았다.

 

 

▶블로그 등에서 찾은 비틱의 유래와 자세한 뜻

①비틱 뜻

비틱은 여러 커뮤니티나 게임 갤러리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신조어다.

그 의미는 '자랑이나 기만질을 하는 행위'.

보통 '비틱질을 한다'라고 표현한다. 즉, 자신의 우월한 점이나 남들과 다른 유리한 점을 앞세워 남을 깔보고 기만하는 행위를 일삼는 사람들에게 쓰이는 용어다.

 

②비틱 유래

그 유래를 찾아보니, 이 단어의 변천사가 있었다.

원래 비틱은 '네이버카페 덕후'라는 말이 원조라고 한다. 이를 줄여 '네덕'이라고 했고, '네덕'이 야민정음화하여 '비틱'이 되었다.

*야민정음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비슷한 모양으로 바꾸어 부르는 인터넷 밈이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멍멍이→댕댕이'다.

 

2010년대 초반 모바일 게임이 크게 유행했을 때, 모바일 게임에 관한 정보를 찾기 위해 사람들이 관련 게임들의 네이버 카페를 찾기 시작했다. 카페에서는 게임 관련 정보 교환과 함께 운으로 좋은 아이템을 먹은 유적들이 "이 아이템 좋은가요?"라면서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진짜 아이템의 가치를 몰라서 물어보는 경우도 있었지만, 그보다는 자신의 우월감을 뽐내고 자랑하기 위해 작성한 사람들이 많았다.

이러한 유저들에게 "네이버 카페 오타쿠를 찾아가라" 혹은 "네이버 카페 오타쿠 같은 짓 하지 마라"라는 말이 생겼났는데, 이를 줄여서 '네덕'이라고 했고, 앞서 말한대로 이 '네덕'이 야민정음화를 통해 '비틱'이 되었다.

 

참 재미있는 세상이다.

내가 모르는 단어들이 불쑥 튀어나올 때마다, 그 뜻과 그 유래를 찾아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비틱.

이런 뜻과 유래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 비틱이 그렇게까지 김다람을 화나게 만들 단어인가?

어쩌면 김다람, 생각보다 속이 좋은 여자인지도 모르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