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이 아프신 경우, 특히 거동이 불편한 경우 간병인을 쓰는 경우가 있다.
물론 부모님의 간병을 직접 해드리면 가장 좋다.
하지만 여러 사정으로 인해 어려울 때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우리나라 간병 비율을 찾아보니, 가족이 직접 간병하는 비율은 약 30%였다.
나머지 70% 이상은 간병인 서비스를 받고 있었다.
간병인을 쓰면 여러 가지 이점이 있지만, 그 비용이 만만치 않다.
오늘은 간병인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본다.
■24시간 간병인 비용(하루 기준)
평일
평균 12만 원~ 15만 원
주말
평균 15만 원~ 18만 원
위에 제시한 비용도 적은 것은 아니나, 간병인 비용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한 달로 치면 대략 400만 원 정도의 간병인 비용이 드니, 돈이 없는 사람들은 그저 한숨이 나올 뿐이다.
만약 조선족 간병인을 구하면, 약 2만 원(하루 기준) 정도가 저렴하다고 하니 참고하면 좋을 듯하다.
간병인을 구하는 것은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여러 전문 사이트가 나오니 가격이나 서비스를 비교하여 잘 선택하면 되겠다.
어느 특정 회사를 소개할 수는 없으니, 잘 소개된 회사의 간병이 비용을 참고용으로 아래와 같이 적어본다.
환자 상황 구분 | 간병 요금 | 간병 요금 | |
일반 환자(아래 항목이 적용되지 않는 환자) | 130,000 원 | ||
욕창, 기저귀, 와상환자, 전신마비, 하반신마비 | + 10,000 원 | ||
치매, 섬망, 재활, 투석, 석션 | + 10,000 원 | ||
감염성 질환으로 격리 | + 10,000 원 |
위에 소개하는 비용 기준도 일반적인 가격을 말한 거고, 환자를 케어하는 정확한 비용은 없다.
■요양병원에서의 간병인 비용
요양병원이란 원래는 삶이 얼마 안 남은 환자들이 여생을 보내기 위한 시설이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병원의 한 종류로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의료시설이다.
중풍이나 뇌경색, 알츠하이머 병, 간암, 폐암, 위암 등의 노인들이 많이 입원하는 실태이다.
요양병원에서 간병인을 쓰려면 진단서가 필요하다.
간병인 비용은 전액 본인 부담이고, 간병인 비용은 환자마다 다르지만 대략 월 250만 원 정도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1인실: 85,800원
2인실: 51,667원
3~4인실: 31,481원
6인 이상: 18,580원
*개인 간병은 간병 시간과 병실에 따라 비용이 다르다.
요양병원은 의료법에 적용되어 운영된다.
따라서 입원비나 입소비의 경우 정부지원 80%를 받을 수 있다.
비급여 치료나 처방은 본인부담이고 식비는 50% 본인 부담이다.
보통 요양병원의 한 달 비용은 100~130만 원이다. (*간병비 제외!)
병실료는 4인 이상은 무료, 1~3인실은 병실료 별도 부담이다.
■요양원 비용
요양원을 요양병원과 헷갈려하는 사람이 있는데, 요양원은 요양병원과 완전히 다르다.
요양병원은 말 그대로 병원이지만, 요양원은 의료기관이 아니다.
따라서 의사는 없고 간호인력만 주간에 근무한다.
요양원 비용은 80% 정부 지원을 받는다.
요양원 입원조건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요양 등급 중 1~4급 판정을 받은 노인들에 한한다.
65세 미만도 노인성 질환으로 거동이 불편하다면 입소 가능하다.
요양원의 인식은 여전히 좋지 않다. 자식이 부모를 버려서 보내지는 곳이 요양원이라는 인식이 아직까지도 강하다.
전국에는 현재 약 3000개의 요양원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65세 이상 노인들 중에 대략 89% 정도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앞으로 이런 노인들을 위한 시설과 대응에 따른 비용은 더욱 커질 것이다.
어떻게 해야 할까, 그 답이 보이지 않는다.
'정보공유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사 날짜는 언제일까? 돌아가신 날? 그 전날? (3) | 2023.05.09 |
---|---|
라덕연 프로필과 SG증권 폭락 사태 전말을 알아보자 (1) | 2023.05.03 |
어버이날 선물 순위 베스트 7 (0) | 2023.05.01 |
박광온 민주당 원내대표 선출되다. 박광온 의원 프로필 첨부 (6) | 2023.04.28 |
부처님오신날 대체공휴일 5월 29일(월) 쉬어요 (2) | 2023.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