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오는 주말에 읽게 된 책.
「에세이로 배우는 일본어」에서 무라카미 하루키의 '새하얀 거짓말'을 만났습니다.
真っ白な噓 새하얀 거짓말
(맛시로나 우소)
영어에서 악의 없는 거짓말을 'white lie'라고 표현하니, 읽으며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하지만 우린 '하얀 거짓말'이란 표현은 자주 써도, '새하얀 거짓말'이란 표현은 쓰지 않습니다.
굳이 '새'를 붙인다면, '새빨간 거짓말'이겠죠.
아주 악의적이고, 전혀 진실이 아닌 거짓말.
그런데 이런 의문이 들었습니다. 왜, 거짓말은 빨간색이지?
■거짓말은 왜 빨간색일까? 새빨간 거짓말의 어원을 찾아보자
위의 글은 수필 본문 중의 내용입니다.
아마도 작자인 무라카미 하루키도 저와 같은 의문이 생겼나 봅니다.
真っ赤な嘘 새빨간 거짓말
(막카나 우소)
"일본에는 '새빨간 거짓말'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왜 거짓말이 빨간색인지 알고 계십니까? 나라시대의 일본에서는 악질적인 거짓말로 세상을 어지럽힌 사람에게는 시뻘건 찹쌀떡 열두 개를 입속에 쑤셔 넣어 질식사시키는 가혹한 형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라는 것은 일례로 거짓말입니다. 왜 거짓말이 빨간색일까, 예전부터 궁금해서 언젠가는 찾아보려고 했습니다만, 최근 몇십 년 동안 너무 바빠서 아직 하지 못했습니다. 영어에는......"
속았습니다!
윗부분의 나라시대 이야기가 새빨간 거짓말의 유래인줄 알고 열심히 읽었는데, 그게 하루키 선생의 장난스러운 거짓말이네요.
이제는 제가 찾아볼 차례입니다.
하루키 선생만큼 바쁘지 않은 제가 찾아볼 수 밖에요.
하지만 아무리 인터넷을 뒤져도 정확히 '이거다'라고 알려주는 것은 없었습니다.
그나마 가장 신빙성이 있는 글을 브런치에서 찾았습니다.
아래는 브런치에 올린 <윤경민 기자의 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
일본어의 새빨간 거짓말의 새빨간은 빨갛다를 강조한 말.
빨갛다는 한자로 붉은 적(赤)을 쓰는데, 분명하다는 뜻의 明らかな(아끼라까)와 같은 어원에서 온 것으로 전해진다. '아끼라까'와 '아까'는 발음도 비슷하다.
赤の他人(아까노타닝) '빨간 타인'하면 생판 모르는 남을 가리킨다. '아까'(赤)는 빨갛다는 뜻 외에도 완전히, 전혀의 뜻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새빨간 거짓말은 완전한 거짓말, 전혀 사실이 아닌 거짓말을 일컫는 일본어다.
그 일본어를 우리 식으로 그대로 번역해 쓴 것인데, 이게 우리말처럼 굳어져 버린 것으로 볼 수 있다.
"
https://brunch.co.kr/@yoonkm5/97
정확히 위의 말이 맞다고 100% 확신할 수 없지만, 그래도 가장 신빙성이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의 오랜 세월을 겪었으니, 일본어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을 겁니다.
♣마치며
새빨간 거짓말.
거짓말을 왜 빨간색으로 표현했을까, 찾아가는 공부였습니다.
조금은 아쉽습니다. 유래가 일본말에서 비롯됐다는 것이.
하지만 의미를 전달하는데, 참 적절한 색깔이다는 생각이 듭니다.
새파란 거짓말?
이상합니다. (^^)
오늘도 행복하십시오.
- 건강한 휴식맨
'정보공유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인사법에는 3가지 포인트가 있다. (0) | 2021.05.20 |
---|---|
공부에는 왕도가 있다? 없다? 공부의 왕도 5단계를 소개합니다. (2) | 2021.05.19 |
연차 휴가는 최대 몇일? 연차일 계산법은? 연차휴가사용촉진제도란? (2021년 근로기준법 기준) (0) | 2021.05.14 |
도지코인은 사기다? (0) | 2021.05.09 |
하렘? 하렘물이 뭐지? 하렘의 반대말은? (0) | 2021.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