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미있는 일본, 일본어

실생활 일본어에서 틀리기 쉬운 표현을 알아보자

by 휴식맨 2025. 5. 21.
반응형

오늘은 일본어 공부를 해볼까 한다.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지만 틀리기 쉬운 표현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알아보고, 실제 사용 사례를 들어본다.

틀리기 쉬운 일본어 표현
틀리기 쉬운 일본어 표현


1. 「なるほど」의 오용

설명: 「なるほど」는 상대방의 말을 이해했거나 납득했을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그렇구나", "이해했어"라는 의미다. 하지만 이를 잘못 사용하면 무례하거나 부자연스럽게 들릴 수 있다. 특히, 상사나 윗사람에게 캐주얼하게 사용하거나, 너무 자주 반복하면 부적절해 보인다.

올바른 사용 사례:

  • 친구: 「このアプリ、無料で使えるんだよ。」 (이 앱,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
  • 나: 「なるほど、便利そうだね!」 (그렇구나, 편리해 보인다!)

틀린 사용 사례:

  • 상사: 「このプロジェクトは来週までに終わらせてください。」 (이 프로젝트는 다음 주까지 끝내 주세요.)
  • 나: 「なるほど。」 (그렇구나.)
    → 이 상황에서는 「かしこまりました」 (알겠습니다) 또는 「了解しました」 (이해했습니다)가 더 적절합니다.

: 「なるほど」는 동등하거나 친한 관계에서 사용하고, 격식을 갖춰야 하는 상황에서는 「承知しました」나 「了解しました」를 사용하자.

 

 


2. 「大丈夫」の 애매한 사용

설명: 「大丈夫」는 "괜찮아", "문제없어"라는 뜻으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상황에서 쓰인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의지를 나타낼 때와 상태를 묻는 대답으로 쓰일 때 의미가 달라질 수 있어 혼동하기 쉽다.

올바른 사용 사례:

  • 친구: 「このお店、混んでるけど大丈夫?」 (이 가게, 붐비는데 괜찮아?)
  • 나: 「うん、大丈夫だよ。」 (응, 괜찮아.) → 괜찮다는 동의를 표현.

틀린 사용 사례:

  • 웨이터: 「お飲み物はいかがですか?」 (음료는 어떠신가요?)
  • 나: 「大丈夫です。」 (괜찮습니다.)
    → 이 경우 「大丈夫です」는 "필요 없다"는 뜻으로 들릴 수 있어 무례하게 느껴질 수 있다. 대신 「結構です」 (괜찮습니다)나 「水でいいです」 (물로 괜찮습니다)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 「大丈夫」는 상대방의 제안을 거절할 때 신중히 사용하고, 상황에 따라 「結構です」나 구체적인 대답으로 대체하자.


3. 「全然」の 부정문 이외 사용

설명: 「全然」은 "전혀"라는 뜻으로, 원래 부정문과 함께 쓰여야 자연스럽다 (예: 「全然わからない」 - 전혀 모르겠어). 하지만 최근 젊은 층에서는 긍정문에서도 쓰이는 경우가 늘고 있어 (예: 「全然大丈夫!」), 이는 비표준적이고 캐주얼한 표현이다.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피해야 한다.

올바른 사용 사례:

  • 친구: 「テスト、どうだった?」 (시험 어땠어?)
  • 나: 「全然わからなかったよ…。」 (전혀 모르겠더라…) → 부정문에서 자연스럽게 사용.

틀린 사용 사례:

  • 면접관: 「この仕事、できますか?」 (이 일을 할 수 있나요?)
  • 나: 「全然できます!」 (완전 할 수 있습니다!)
    → 비문법적이고 캐주얼해 부적절하다. 「十分できます」나 「問題なくできます」가 더 적합하다.

: 「全然」은 부정문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며, 긍정적인 강조를 하고 싶다면 「全然大丈夫」 대신 「完全に大丈夫」나 「全然問題ない」처럼 상황에 맞게 조정하자.


4. 「よろしく」の 범위 오해

설명: 「よろしく」 또는 「よろしくお願いします」는 "잘 부탁드립니다"라는 뜻으로, 처음 만났을 때나 협력을 요청할 때 자주 쓰인다. 하지만 지나치게 가벼운 상황에서 사용하거나, 의미를 모호하게 사용할 경우 어색할 수 있다.

올바른 사용 사례:

  • 동료: 「このプロジェクト、一緒にやろうね。」 (이 프로젝트, 같이 하자.)
  • 나: 「うん、よろしくね!」 (응, 잘 부탁해!) → 동등한 관계에서 자연스럽게 사용.

틀린 사용 사례:

  • 친구: 「今度、映画見に行こうよ!」 (다음에 영화 보러 가자!)
  • 나: 「よろしくお願いします。」 (잘 부탁드립니다.)
    → 너무 격식을 차린 표현이라 어색하다. 그냥 「いいね、楽しみ!」 (좋아, 기대돼!)가 더 자연스럽다.

: 「よろしく」는 협력이나 공식적인 부탁이 있을 때 사용하고, 친구와의 가벼운 약속에는 캐주얼한 대답을 사용하자.

 

 


5. 「とても」와 「すごく」의 뉘앙스 차이

설명: 「とても」와 「すごく」은 둘 다 "매우", "정말"이라는 뜻이지만, 「とても」는 격식을 갖춘 표현이고 「すごく」는 캐주얼한 표현이다. 잘못된 상황에서 사용하면 어색하거나 무례하게 들릴 수 있다.

올바른 사용 사례:

  • 선생님: 「この本、面白いですよ。」 (이 책, 재미있어요.)
  • 나: 「とても面白そうですね!」 (정말 재미있어 보이네요!) → 공손한 상황에서 적절.

틀린 사용 사례:

  • 상사: 「この資料、確認してください。」 (이 자료, 확인해 주세요.)
  • 나: 「すごく了解しました!」 (엄청 알겠습니다!)
    → 「すごく」은 너무 캐주얼해서 부적절하다. 「承知しました」나 「はい、了解しました」가 적합하다.

: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とても」나 「非常に」를, 친구와의 대화에서는 「すごく」나 「めっちゃ」를 사용하자.


추가 팁

  • 상황에 맞는 톤 조절: 일본어는 상대방과의 관계, 장소, 상황에 따라 표현이 달라진다. 항상 상대방의 위치와 대화의 맥락을 고려하자.
  • 듣기 연습: 일본 드라마, 애니메이션, 또는 유튜브 대화 콘텐츠를 통해 실제 원어민의 표현을 익히면 뉘앙스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작은 실수 OK: 일본어 원어민도 실수를 이해해 주니, 너무 부담 갖지 말고 자주 말하도록 하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