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일본, 일본어232 "네스타 리조트 고베"는 어떤 곳? 꼭 즐겨야 할 액티비티를 알아보자 이번 달 21일에 일본 고베에 간다.정확히는 고베의 "네스타 리조트 고베"에 간다.회사 직원들과 함께 즐겁게 놀고 올 계획이다.오늘은 우리가 갈 "네스타 리조트 고베"는 어떤 곳이고, 거기에서 즐길만한 액티비티를 알아본다. 네스타 리조트 고베 소개네스타 리조트 고베는 일본 효고현 미키시에 위치한 약 230만 평방미터에 달하는 광활한 자연 속 테마파크다. 고베 시내에서 차로 약 30분 거리에 있어 접근성도 좋고, 간사이 지역에서 자연을 만끽하며 다양한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장소로 손꼽힌다. 이곳은 단순한 놀이공원이 아니라, 온천, 글램핑, 숙박 시설, 그리고 30가지 이상의 액티비티를 제공하는 종합 리조트로, 사계절 내내 즐길 거리가 풍부하다. 여름에는 수영장과 불꽃놀이, 겨울에는 일루미네이션.. 2025. 4. 10. "아이즈치"가 뭘까? 여러 가지 아이즈치를 배워보자 아이즈치.아이즈치가 뭘까?오늘은 일본어를 배울 때 빠뜨릴 수 없는 '아이즈치'에 대해서 알아보고, 또 공부해 보자.일본어에서 "아이즈치" (相槌, aizuchi)는 대화 중에 상대방의 말에 맞춰 넣는 짧은 반응이나 소리를 뜻한다. 예를 들어, "네", "그렇군요", "음", "아" 같은 표현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는 상대방에게 "당신 말을 잘 듣고 있다"는 신호를 주며, 대화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일본 문화에서는 대화의 예의와 조화를 중시하기 때문에 아이즈치가 꽤 자주 사용된다.예시를 들자면:A: 오늘 날씨가 정말 좋네요.B: 네, 정말 그렇네요. (아이즈치로 "네" 사용) 그럼 구체적으로 어떤 아이즈치가 있는지, 알아보자."아이즈치"는 일본어 대화에서 상황이나 감정에 따라 다양한 .. 2025. 4. 4. 코베 이쿠타 신사에 대해 알아보자 이쿠타 신사(生田神社)는 일본 효고현 고베시에 위치한 오래된 신사로, 신토교 신앙의 중요한 장소 중 하나다. 이 신사는 약 1,80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며,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신사 중 하나로 여겨진다. 주로 "결연(縁結び)"의 신으로 알려진 와카미야히메노미코토(稚日女尊)를 주신으로 모시고 있어, 연애나 인연을 맺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는 곳이다.역사이쿠타 신사는 일본의 고대 문헌인 《일본서기》(Nihon Shoki)에 기록되어 있는데, 201년에 진구 황후(神功皇后)가 삼한 정벌에서 돌아오는 길에 이곳에서 신탁을 받고 신사를 세웠다고 전해진다. 이후 여러 시대를 거치며 지역 주민들의 신앙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고, 특히 고베라는 지명 자체가 "칸베(神戸)" 즉 "신의 문"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2025. 4. 3. 務める, 努める, 勤める, 勉める 어떻게 다를까? 일본어는 쉬운 듯, 어렵다.같은 발음이지만 한자에 따라 의미가 다른 단어가 많기 때문이다.오늘은 그중에서도 발음도 같고 의미도 비슷해서 구분이 어려운 단어를 공부해보려 한다.바로 「務める」「努める」「勤める」「勉める」일본어에서 「務める」「努める」「勤める」「勉める」는 비슷해 보이지만 각각의 의미와 사용법이 다르다. 이 네 단어는 발음이 모두 "tsutomeru"로 동일하지만, 한자와 의미가 달라 상황에 따라 적절히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아래에서 각각의 뜻과 사용 방법을 자세히 알아본다.1. 務める (つとめる)의미: 어떤 역할, 임무, 직책 등을 수행하거나 맡아서 하다.용법: 주로 공식적이거나 책임감 있는 역할, 직무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담당하다"나 "수행하다"에 가까운 뉘앙스다.예문:彼は会長を務めて.. 2025. 3. 28. 貴社와 御社는 무엇이 다를까? 오늘 궁금한 것은 바로, 이것이다.貴社와 御社일본과의 메일을 주고 받을 때, 헷갈린다. 같은 의미? 다른 의미? 어느 것을 사용해야 하나?제대로 구분해 보자.貴社(きしゃ)와 御社(おんしゃ)는 둘 다 상대방의 회사를 높여 부를 때 사용하는 말이지만, 사용되는 상황에 차이가 있다.1. 貴社(きしゃ)문어체(書き言葉, 글에서 쓰는 말)공식적인 문서, 글, 이메일 등에서 사용예)貴社のご発展をお祈り申し上げます。(귀사의 발전을 기원합니다.)貴社の製品に興味がございます。(귀사의 제품에 관심이 있습니다.)2. 御社(おんしゃ)구어체(話し言葉, 말할 때 쓰는 표현)대화 중에 상대방의 회사를 높여 말할 때 사용예)御社のサービスについて詳しく教えていただけますか? (귀사의 서비스에 대해 자세히 알려 주실 수 있나요?)御社とぜひお取引.. 2025. 3. 28. 일본어 "自分"과 "自身"의 차이점 가끔 궁금한 것이 있다.같은 의미인 듯한데, 어떻게 다르지?그중에 하나가 바로, "自分"과 "自身"이다."自分(じぶん)"과 "自身(じしん)"은 둘 다 "자신"이라는 의미를 가지지만, 뭔가 다르다. 그 차이를 알아보자!1. 自分(じぶん)✔ 의미:"나" 또는 "자기 자신"을 의미함.1인칭(나)뿐만 아니라 2인칭(너)이나 3인칭(그/그녀)도 포함할 수 있음.✔ 특징:주어로 자주 사용됨.주관적인 감정이나 행동을 표현할 때 많이 쓰임.문맥에 따라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상대방을 가리킬 수도 있음.✔ 예문:自分のことは自分でやりなさい。→ "자기 일은 스스로 해라." (자기 자신을 의미)彼は自分の間違いに気づいていない。→ "그는 자신의 실수를 깨닫지 못하고 있다." (그 사람을 가리킴)自分も行っていいですか?→ "저도 가도.. 2025. 3. 27. 일본어 호칭 "매형", "매제", "처형", "처제"는 어떻게 부를까? 장인과 장모는? 일본어에서 가족 호칭은 한국어와 비슷하면서도 미묘한 차이가 있어서 흥미롭다. 특히 배우자나 상대방의 가족을 부를 때는 예의를 갖춘 표현을 쓰는 경우가 많다. 오늘은 "매형", "매제", "처형", "처제"뿐만 아니라 "장모", "장인"까지 포함해서 일본어 호칭을 정리해 본다.먼저, 배우자의 형제자매부터 시작하자.한국어로 "매형"은 누나의 남편을 뜻한다. 일본어로는 이걸 "義兄"라고 하고, 로마자로는 "gikei"라고 쓴다. 발음은 "기케이" 정도 된다. 이 단어는 꽤 공손한 느낌이 있어서 일상에서 쓰기에 딱 좋다. 예를 들어 "私の義兄は医者だ"라고 하면 "내 매형은 의사야"라는 뜻이다.다음은 "매제"다. 이건 여동생의 남편을 부르는 말인데, 일본어로는 "義弟"라고 한다. "gitei"로 쓰고 "기테이"라.. 2025. 3. 27. 일본 지하철 안내 멘트를 알아보자 한국도 마찬가지지만, 일본에서 지하철을 이용할 때 안내 방송이 나온다.친숙하지만, 자세하게는 듣지 않는 안내 멘트.오늘은 지하철 안내 방송, 즉 안내 멘트들을 배워보자.🚉 기본적인 역 도착 안내まもなく、○○駅です。(마모나쿠, ○○에키 데스.)→ "잠시 후, ○○역입니다."○○駅に到着します。(○○에키니 토우착시마스.)→ "○○역에 도착합니다."次は、○○駅です。(츠기와, ○○에키 데스.)→ "다음은 ○○역입니다."🚇 환승 안내○○駅で、△△線にお乗り換えできます。(○○에키데, △△센니 오노리카에 데키마스.)→ "○○역에서 △△선으로 환승할 수 있습니다."△△線をご利用の方は、お乗り換えください。(△△센오 고리요노 카타와, 오노리카에 쿠다사이.)→ "△△선을 이용하실 분은 환승해 주세요."🚪 출입문 안내ドアが開.. 2025. 3. 25. 일본 음식 "스키야끼" 이름의 유래를 알아보자 '야끼'라는 말은 '굽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일본 음식인 "스키야끼"는 굽는 음식이 아닌 전골 음식이다. 즉, 나베(냄비)에 끓여 먹는 음식이다. 그래서인지, 일본어를 조금 아는 사람이면 왜 이 요리가 "스키야끼"지? 하고 의문을 갖게 된다. 나 또한 마찬가지였다.그래서 오늘은 이 "스키야끼" 이름의 유래를 알아보고 정리하였다.■스키야끼 이름의 유래스키야끼라는 일본 음식의 이름 유래는 꽤 흥미롭다. 스키야끼라는 단어는 일본어 "스키(鋤)"와 "야끼(焼き)"가 합쳐진 말이다. "스키"는 쟁기를 뜻하고, "야끼"는 굽거나 볶는다는 의미다. 그러니까 직역하면 "쟁기로 구운 것"이라는 뜻이 된다. 이 이름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알아보면 일본의 역사와 생활상이 엿보인다.스키야끼라는 이름의 기원은 에도 .. 2025. 3. 25. 일본의 음식, 소바의 종류를 알아보자 일본의 대표 면 요리 소바(そば)는 메밀로 만든 담백한 맛이 일품이다. 뜨겁게 먹거나 차갑게 먹는 방식부터 지역별 특색, 현대적인 변형까지 소바의 세계는 다채롭다.오늘은 소바 종류를 일본어 표기와 함께 정리해봤다.차가운 소바: 여름철 시원함의 정석여름에 제격인 차가운 소바(冷たいそば)는 찬물에 헹군 면을 간장 베이스 쯔유(つゆ)에 찍어 먹는 방식이 기본이다. 시원한 맛과 깔끔한 조화가 매력적이다.모리 소바(もりそば): 가장 기본적인 차가운 소바. 대나무 채반에 담겨 나온 소바를 쯔유에 와사비, 파 같은 고명과 함께 찍어 먹는다. 메밀의 풍미가 살아있는 심플한 맛.자루 소바(ざるそば): 모리 소바와 비슷하지만 김(海苔, 노리)이 면 위에 얹혀 나온다. 김의 짭조름한 향이 더해져 한층 풍미가 깊어진다.텐자루.. 2025. 3. 14. '스토익" 무슨 뜻? 한국과 일본에서 쓰이는 '스토익'에 대해 알아보자 스토익(stoic)?오늘은 이 단어 '스토익'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일본 유튜브를 보다 보면, 일본어가 아닌 데도 의례 '스토익'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고, 상대방도 그냥 당연하다는 듯이 알아듣는다. 나는 당연하지 않은데.그래서 오늘은 스토익의 유래와 그 뜻, 그리고 일본과 한국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본다.■스토익 뜻과 유래원래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유래한 말로, '감정을 절제하고 평정심을 유지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스토아 학파(Stoicism)라는 철학은 인간이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이성을 바탕으로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가르침을 강조한다. 현대에는 힘든 상황에서도 묵묵히 버티고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사람을 가리킬 때 "스토익하다"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그런데 이 단어가 의외로 일.. 2025. 3. 11. 일본의 '가위 바위 보'? 전 세계의 '가위 바위 보' 문화에 대해 알아보자 어린이들 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곧잘 '가위 바위 보'를 한다.아주 간단하게 승부를 볼 수 있는 게임으로 일상에 녹아있다.일본에 가면 일본도 한국과 마찬가지다. 흔히 들려오는 소리 "쟌켄폰".'우리와 같구나!'그럼 이 '가위 바위 보'는 우리나라와 일본에만 있을까?아니다. 알아보니, 세계 각국에 동일한 '가위 바위 보'가 있었다.오늘은 세계의 '가위 바위 보'에 대해 정리해본다.전 세계의 가위바위보 문화가위바위보는 단순한 게임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으며 각 나라별로 독특한 방식과 구호를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가위, 바위, 보!"라고 외치며 순서를 정하거나 내기를 할 때 자주 사용하는데, 다른 나라에서는 어떻게 부를까?1. 일본 (じゃんけん, 쟌켄)일본에서는 가위바위보를 "쟌켄"이라고 부.. 2025. 3. 10. 타베호다이와 바이킹의 차이점은? 노미호다이? 드링크바? 일본의 무한리필 종류와 차이점 정리일본 여행을 하다 보면 "무한리필"이라는 단어를 자주 보게 된다. 일본어로는 **"타베호다이(食べ放題)"**라고 하는데, 이 말만 봐도 마음껏 먹을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무한리필이라고 다 같은 방식은 아니다. 비슷한 개념인 "바이킹(バイキング)"이나 "노미호다이(飲み放題)", "드링크바(ドリンクバー)" 등 다양한 표현이 있어 처음 접하는 사람은 헷갈릴 수도 있다. 일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무한리필의 종류와 차이점을 정리해 보았다.1. 타베호다이(食べ放題) vs 바이킹(バイキング)우선, **"타베호다이"**와 **"바이킹"**은 둘 다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방식이 조금 다르다.타베호다이: 특정 메뉴를 무제한 제공하는 방식으로, 손님이 직.. 2025. 3. 7. "아지트"가 일본어에서 왔다고? 뭐, 러시아어? 나는 진짜 "아지트"라는 말이 영어인 줄 알았다.그런데 얼마 전에 이 말이 일본어에서 왔다는 걸 알았다.헐!그리고 순수 일본어가 아니라는 사실도.오늘은 내가 지금까지 잘못 알고 있었던 "아지트"라는 말의 어원과 그 의미를 정리해 본다.■"아지트"는 일본말에서 왔다?다른 사람들은 "아지트"라는 말이 일본어에서 온 외래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을까?우리는 흔히 "우리들의 아지트"라는 표현을 쓰면서, 친구들과 편하게 모일 수 있는 아늑한 장소를 떠올린다. 하지만 이 단어의 어원을 따라가 보면 꽤 흥미로운 이야기가 숨어 있다.바로, "아지트"는 일본어 "アジト(ajito)"에서 온 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실 일본어에서도 원래부터 있던 단어가 아니라, 러시아어에서 빌려온 외래어라는 데 더 놀랐다.즉, "아지트".. 2025. 3. 6. "나와바리" 일본어? "나와바리"의 정확한 뜻과 유래를 알아보자 내 나이 때 친구들이 자주 사용하는 말이 있다."나와바리"분명히 일본 냄새가 나는 말이다."나와바리"는 일본어인가? 어떤 말에서 유래되었나?이런 질문들을 친구들에게 들을 수 있다.왜냐면 내가 바로 '일본통'으로 통하기 때문이다.혹시 모를 질문에 대비해서 오늘은 "나와바리"의 정확한 뜻과 유래들을 알아본다.■나와바리 어원과 뜻"나와바리(ナワバリ)"는 일본어 "縄張り(なわばり, nawabari)"에서 온 단어다. 이 말은 "縄(なわ, 나와, 밧줄) + 張る(はる, 하루, 펼치다)"라는 조합에서 유래했다. 즉, 밧줄을 쳐서 영역을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일본에서는 이 단어가 영역, 구역, 세력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원래 이 단어는 동물의 영역을 뜻하는 말로 자주 쓰였다. 예를 들어 길고양이나 야생동물이 자.. 2025. 3. 5. 일본 여배우 인기 순위 2025 (11위~20위)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오늘은 일본 여배우 인기 순위 11위부터 20위까지를 알아보자.이것은 어디까지나 인기 순위이기에, 자신이 좋아하는 여배우가 순위가 낮다고 아쉬워 할 필요는 없다.어디까지나 그냥 순위가 그렇다는 거다.■2025 일본 여배우 인기 순위 (11위~20위)11. 후쿠하라 하루카 (福原遥)출생: 1998년 8월 28일특징: 아역 출신으로 꾸준한 연기 활동을 이어가며 안정적인 인기를 유지 중.주요 활동: 드라마 "소녀의 비밀"에서 미스터리한 캐릭터를 연기하며 주목받았다. 영화 "봄의 선물"에서 따뜻한 감성 연기로 호평을 받았다.화제의 이슈: 배우로서뿐만 아니라 성우와 가수로도 활동하며 다방면에서 재능을 발휘 중이다. 12. 카도와키 무기 (門脇麦)출생: 1992년 8월 10일특징: 개성 있는.. 2025. 3. 3. 일본 여배우 인기 순위 2025 (1위~10위) 오랜만에 다시 일본 여배우 인기 순위를 알아보았다.이번에 많이 바뀌었을까?한국도 그렇지만 일본도 인기 여배우들의 순위가 잘 바뀌지 않는다. 새로운 스타가 탄생하지 않는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여배우들의 파워가 워낙 강해서인지, 그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2025년 현재 일본은 어떨까?2025년, 일본 여배우 인기 순위를 알아보았다.■일본 여배우 인기 순위 (1위~10위)1. 하시모토 칸나 (橋本環奈)출생: 1999년 2월 3일특징: ‘천 년에 한 번 나올 미모’라는 수식어로 유명한 배우. 상큼한 이미지와 탄탄한 연기력으로 다양한 장르에서 활약 중이다.주요 활동: 드라마 "트위스트 러브"에서 주연을 맡아 청춘 로맨스 장르에서 인기를 끌었다. 영화 "도쿄 러브 스토리 2024"에서 감성적인 연기를 선보이.. 2025. 3. 3. 테시마 아오이 '森の小さなレストラン(숲속의 작은 레스토랑)' 일본어 가사와 번역, 노래 소개. 일본 가수 테시마 아오이(手嶌葵)의 '森の小さなレストラン(숲속의 작은 레스토랑)'.단순한 동요처럼 보이지만, 가사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몽환적이고 철학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곡이다.2023년 4월부터 NHK의 'みんなのうた(모두의 노래)'에서 방송되었으며, 따뜻한 멜로디와 함께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곡이다. 이 노래를 처음 들으면 마치 숲속에 숨겨진 아늑한 레스토랑을 이야기하는 듯하다. 하지만 가사 속 표현들을 하나씩 살펴보면 단순한 식당이 아니라, 현실과 비현실이 혼재된 공간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그럼, 먼저 이 노래의 일본어 가사를 보자.■테시마 아오이 '숲속의 작은 레스토랑' 일본어 가사ドングリを辿っても着きません森の小さなレストラン空っぽのポケットを弄って忘れた人から辿り着く 予約は一つもありません森の.. 2025. 2. 26. 자주 사용하는 일본어 '의성어'와 일본어 '의태어'를 알아보자 일본어에는 우리가 흔히 아는 단어나 문장 외에도 감정을 표현하거나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의성어(擬声語)"와 "의태어(擬態語)"가 많다.한국어에도 '쨍쨍', '졸졸', '반짝반짝' 같은 표현이 있듯이, 일본어에서도 이러한 단어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된다.의성어는 주로 소리를 나타내는 단어이고, 의태어는 상태나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다. 일본어에서는 이 두 가지를 합쳐 '의성·의태어(オノマトペ, onomatopoeia)'라고 부르기도 한다.이전에도 '오노마토페'에 대해 정리한 적이 있는데, 기억이 가물가물.그래서 오늘 다시 일본어 의성어와 의태어에 대해 정리해 본다.■자주 사용하는 일본어 의성어 의태어1. 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①도키도키(ドキドキ)- 두근두근 긴장하거나 설렐 때 심장이 뛰는 소리를 나.. 2025. 2. 25. '気' 관련된 일본어 표현들을 알아보자 일본어에서 '気(き, ki)'라는 글자는 정말 자주 사용된다. '기운'이나 '마음', '생각' 같은 의미를 담고 있어서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특히 일본어 표현에서는 '気'가 들어가는 숙어나 관용구가 많아서, 이를 익히면 일본어 실력이 한층 자연스러워질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자주 쓰이는 '気' 관련 표현들을 소개하고, 그 의미와 예문을 함께 살펴보려고 한다.■'気' 관련된 일본어 표현들①気になる (きになる) 뜻: 신경 쓰이다, 궁금하다 예문: 最近、彼の態度が気になる。 (요즘 그 사람 태도가 신경 쓰여.) ②気にする (きにする) 뜻: 신경 쓰다, 걱정하다 예문: そんなこと、気にしないで。 (그런 거 신경 쓰지 마.) ③気がする (きがする) 뜻: 느낌이 들다, 그런 기분이 들다 예문:.. 2025. 2. 24. 일본 여행 전에 알아두면 좋은 일본 에티켓과 매너 일본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아래의 내용은 꼭 숙지하길 바란다."매너가 사람을 만든다."일본에서 매너를 지켜 최소한 '사람'으로 남도록 하자. 일본은 매너와 에티켓을 중요하게 여기는 나라다. 작은 행동 하나에도 배려와 존중이 담겨 있어, 이를 이해하고 실천하면 더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다.일본을 방문할 계획이라면,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예절을 익혀 두자. 1. 목욕 문화일본에서는 매일 목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대중목욕탕(센토)이나 온천(온센)을 이용할 때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욕조에 들어가기 전에 몸을 깨끗이 씻어야 하며, 욕조 안에서는 비누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가정에서도 욕조의 물을 가족이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비누나 머리카락이 욕조에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2. 식사.. 2025. 2. 21. 일본의 '이랏샤이마세' 뜻과 유래, 그리고 그 문화를 알아보자 일본을 여행하거나 방문해 본 사람이라면 상점에서 울려 퍼지는 "이랏샤이마세!"라는 인사를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직원들이 활기차게 외치는 이 말은 단순한 환영 인사가 아니라, 일본만의 독특한 상업 문화와 깊은 연관이 있다.이번 글에서는 '이랏샤이마세'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일본에서 큰 목소리로 인사하는 문화적 배경에 대해 알아보겠다.■'이랏샤이마세'를 외치는 이유일본의 상점에서는 고객이 문을 열고 들어오는 순간 직원들이 일제히 "이랏샤이마세!"라고 외친다. 이 인사는 단순히 손님을 반갑게 맞이하는 것을 넘어 몇 가지 중요한 기능을 한다. 고객 방문 알림직원들이 고객의 방문을 인지하고, 이를 서로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고객을 신속하게 응대할 수 있다. 매장 분위기 조성활기찬 인사는 매장.. 2025. 2. 20. 오사카 사투리 '간사이벤', 자주 사용되는 간사이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우리 회사의 본사는 오사카에 있다.오사카는 잘 알겠지만 그들만의 사투리가 있다.표준 일본어(東京弁, 도쿄벤)와는 조금 다른 사투리인 '간사이벤(関西弁)'이다.특히 오사카 사람들은 간사이벤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고, 친근하고 정겨운 느낌을 주는 경우가 많다. 만약 오사카에 자주 방문하거나, 오사카 사람들과 교류할 기회가 있다면 간사이벤을 조금이라도 알아두면 더욱 가깝게 느껴질 수 있다.그래서 오늘은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간사이벤 표현을 알아본다.■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오사카 사투리①ありがとう → おおきに (Ōkini)보통 일본어로 "고마워"라고 할 때는 "ありがとう(아리가토)"라고 하지만, 오사카에서는 "おおきに(오오키니)"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특히 상점에서 점원이 고객에게 "おおきに!"라고 말하는 걸 쉽.. 2025. 2. 19. 年収103万円の壁, '연소득 103만 엔의 벽' 뜻과 화제가 되는 이유는? 일본의 뉴스를 읽다 보면 자주 만나는 단어가 있다.현재 일본 상황에 조금이라도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아마 들어봤을 것이다. '103만엔의 벽'일본어로는 위의 사진과 같다.좀 더 구체적인 단어로 바꾸면 이렇다. 年収103万円の壁(연소득 103만 엔의 벽) 이게 무슨 의미일까?그리고 왜 일본에서 이렇게 화제가 되고 있을까?■연소득 103만 엔의 벽의 의미와 화제가 되고 있는 이유*연소득 103만 엔의 벽'이란?'벽(壁)'이라는 표현은 일정 기준을 넘으면 상황이 달라진다는 의미다.일본에서는 연소득이 103만 엔을 초과하면 세금과 사회보험 부담이 달라지는 중요한 기준선이 된다.일본의 세금 제도에서는 근로소득이 103만 엔 이하일 경우, 근로소득 공제(55만 엔)와 기본공제(48만 엔)를 적용받아 과세 대상 소득.. 2025. 2. 18. '야매' 일본어가 '야미'라고? 정확히 알자. 일상적으로 쓰는 말 중에 '야매'가 있다.'정상적인 방법이나 절차를 거치지 않고 무엇인가를 도모하는 것'을 ''야매로 한다''고 한다.그런데 이 ''야매''라는 단어가 보통 일본어에서 왔다고 알고 있다.'야매'진짜 '야매'가 일본어에서 왔을까? 맞다. '야매'는 일본어에서 왔다.하지만 대부분의 인터넷 답변들이 '야매'가 일본어 '야미'에서 왔다고 설명하고 있다.야미, 일본어로 やみ, 한자로는 어둡다는 뜻의 闇을 쓴다. 정말 그런가?물론'闇(やみ, yami)'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야미(闇)가 '어둠'을 뜻하기에, 여기서 파생되어 비밀스럽거나 불법적인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예를 들어본다.闇取引(やみとりひき, yami torihiki) → 불법 거래闇医者(やみいしゃ, yami isha) → 무면허 의사.. 2025. 2. 17. 아마토우? 니가토우? 가라토우? 일본 유튜브를 보다가, 조금 생소한 말을 들었다.아마토우?이게 무슨 말이지?궁금하여 다음 날, 일본담당자에게 물어보았다.아마토우는 단맛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뜻한다고 했다.고개를 끄덕였다. 그런데 이 표현 재미있어서 좀 더 찾아보았다.그런데 다른 표현들도 있었다. '니가토우'라든가, '가라토우'라든가.그래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본다.■아마토우, 니가토우, 가라토우 뜻일본에는 아마토우(甘党), 니가토우(苦党), 가라토우(辛党)라는 흥미로운 표현이 있다.이 단어들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맛에 따라 나뉘는 일종의 취향 그룹을 가리킨다. 먼저 **아마토우(甘党)**는 단맛을 좋아하는 사람을 뜻한다.‘아마이(甘い, 단)’와 ‘토우(党, 파벌)’가 합쳐진 말로, 단 음식을 즐기는 사람들을 가리킨다.일본에서는 디저트나 화.. 2025. 2. 10. 일본 편의점에서 파는 오뎅의 종류와 일본어 이름을 알아보자. 추운 겨울이면 생각나는 것이 뜨끈한 국물의 오뎅이다.한국의 오뎅도 맛있지만, 오뎅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일본의 오뎅은 참 맛나다.겨울에 일본 여행을 가면 빠지지 않고 편의점에 들러 오뎅을 사 먹는다.오늘은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일본의 편의점에서 파는 오뎅의 종류와 각 오뎅의 일본어 이름을 알아본다.■일본 오뎅의 종류와 일본어 이름①다이콘(大根, だいこん)다이콘.다이콘은 말 그대로 큰 무다. 국물이 잘 배어 있고, 부드럽게 익혀진 다이콘은 진짜 별미다.일본 편의점에서 오뎅을 먹는다면, 다이콘은 무조건 사 먹자. ②한펜(はんぺん)흰 생선살과 계란 흰자를 섞어 반죽하여 만든 오뎅이다.푹신하고 부드러운 질감과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입안에 녹는 느낌이라 인기가 많다. ③치쿠와(竹輪, ちくわ)치쿠와는 대나무 .. 2025. 2. 7. 우울 일본어, 憂鬱 유우우츠? 일본뉴스를 보기 위해 자주 야후 재팬에 들어간다.오늘 야후 재팬 첫 페이지의 우측 상단에 아래와 같은 광고 포스터가 붙었다.광고 메시지, 광고 회사의 이름은 빼고 포스터만 잘라 보았다.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은 가타카나로 쓰인 단어 '유우우츠'.항상 이 단어는 항상 한자로 보다가 가타카나로 보니, 조금 낯설다.한자로 적어보면 이렇다.憂鬱 우울. 일본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다. 자살률이 심각한 일본에서 자살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우울'이다.위의 문장을 다시 보자. 毎日の仕事が憂鬱...。3月までに転職したい。매일의 일이 우울... 3월까지는 이직하고 싶다. 転職 전직 → '이직'을 말한다. 발음은 '텐쇼쿠'. 그럼, 이참에 직장 내 우울증 극복에 도움이 되는 팁을 알아보자.■직장 우울.. 2025. 2. 5. 일본의 입춘, 에호마키? 에호마키 뜻과 유래를 알아보자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일본에도 입춘이 있다.입춘은 한자 그대로 立春이다. りっしゅん '릿슌'이라고 읽는다.입춘은 24 절기의 시작으로, 이 단어 '입춘'만 들어도 봄의 향기가 느껴진다. 그러나 여전히 추운 것은 추운 것. 오늘도 상당히 춥다.그래도 봄은 오겠지? 일본에서 입춘 전날을 '세츠분'이라고 한다. '절분'이다.절분에는 콩 뿌리기를 하여 악귀와 액을 쫓고 나이 수만큼 콩을 먹어 1년의 무병장수를 바라는 풍습이 있다.이 세츠분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에호마키'다.에호마키 무엇?오늘은 에호마키의 뜻과 유래를 알아본다.■에호마키 뜻과 유래에호마키란 세츠분(절분: 입춘 전날)에 먹는 '굵게 만 김초밥'으로, 에호(恵方)를 향해 자르지 않은 김초밥을 통째로 먹는 독특한 일본만의 풍습이다.‘에호’란 .. 2025. 2. 3.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 일본어 가사를 알아보자 유튜브에서 조용필이 일본에서 활동하던 시절을 보았다.그리고 우리나라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던 노래 '돌아와요 부산항에'를 일본어로 부르는 모습도.그런데 가사의 내용이 조금 다르다.일본어로 번안을 하다 보니, 달라진 것이다.번안된 일본어 가사도 참 좋다. 그리고 후렴구의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우리말로 불러져 감성을 충만하게 채웠다.오늘은 번안된 가사의 내용을 살펴본다.■돌아와요 부산항에 일본어 가사つばき咲く 春なのに あなたは 帰らない(츠바키사쿠 하루나노니 아나타와 카에라나이)동백꽃 피는 봄인데도 당신은 돌아오지 않고 たたずむ釜山港に 涙の雨が降る(타타즈무 부산항니 나미다노 아메가 후루)서성거리는 부산항에 눈물의 비가 내린다 *たたずむ 서성거리다. 배회하다. 우두커니 서있다. あつい その胸に 顔うずめて(아츠이.. 2025. 1. 13.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