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함

유보율이란?

by 휴식맨 2025. 4. 10.
반응형

주식을 하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알 것으로 알지만, 그냥 기록해 본다.
사실은 내가 잘 몰랐던 거라서.
투자하고 하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면 "유보율"이라는 것이 있다.

유보율이 뭘까?

재무제표에서 유보율이 보인다
유보율

오늘은 유보율이 무엇인지, 유보율 계산식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본다.

 

 

"유보율"은 주식 시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영어로는 "retention ratio" 또는 "plowback ratio"라고 한다. 이는 기업이 순이익 중에서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지급하지 않고, 회사 내부에 유보하여 재투자나 기타 용도로 사용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유보율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유보율 = (순이익 - 배당금) / 순이익

예를 들어, 한 회사의 순이익이 100억 원이고, 그중 30억 원을 배당금으로 지급했다면:

유보율 = (100억 - 30억) / 100억 = 70%

즉, 이 회사는 순이익의 70%를 유보하고, 30%를 배당으로 지급한 것이다.

유보율이 높은 경우, 회사가 성장이나 확장을 위해 자금을 많이 재투자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반대로 유보율이 낮으면 주주들에게 더 많은 배당을 지급하고 있다는 뜻이다. 투자자들은 이 지표를 통해 회사의 자본 관리 전략을 파악할 수 있다.

 

주식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기업 외 변수 때문이다.
하지만 언제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기업 자체다.
그 기업이 좋은 기업인지, 성장 가능성이 높은지 하는 것이다.
그것을 알 수 있는 지표 중 하나가 바로 재무제표다.
따라서 언제나 재무제표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