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미있는 일본, 일본어

務める, 努める, 勤める, 勉める 어떻게 다를까?

by 휴식맨 2025. 3. 28.
반응형

일본어는 쉬운 듯, 어렵다.
같은 발음이지만 한자에 따라 의미가 다른 단어가 많기 때문이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발음도 같고 의미도 비슷해서 구분이 어려운 단어를 공부해보려 한다.

바로 「務める」「努める」「勤める」「勉める」

쯔토메루 어떻게 다르나
쯔토메루 어떻게 다르나

일본어에서 「務める」「努める」「勤める」「勉める」는 비슷해 보이지만 각각의 의미와 사용법이 다르다. 이 네 단어는 발음이 모두 "tsutomeru"로 동일하지만, 한자와 의미가 달라 상황에 따라 적절히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아래에서 각각의 뜻과 사용 방법을 자세히 알아본다.


1. 務める (つとめる)

  • 의미: 어떤 역할, 임무, 직책 등을 수행하거나 맡아서 하다.
  • 용법: 주로 공식적이거나 책임감 있는 역할, 직무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담당하다"나 "수행하다"에 가까운 뉘앙스다.
  • 예문:
    • 彼は会長を務めている。
      (그는 회장을 맡고 있다.)
    • この仕事を務めるのは難しい。
      (이 일을 수행하는 것은 어렵다.)
  • 특징: 직업적이거나 공적인 맥락에서 자주 쓰이며, 책임감을 강조한다.

2. 努める (つとめる)

  • 의미: 노력하다, 힘쓰다.
  • 용법: 목표나 이상을 이루기 위해 애를 쓰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영어로 "strive"나 "make an effort"에 해당합니다.
  • 예문:
    • 健康のために運動に努める。
      (건강을 위해 운동에 노력하다.)
    • より良い社会を作るために努めます。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힘쓰겠습니다.)
  • 특징: 주관적인 노력이나 의지를 나타내며, 자기 계발이나 목표 달성과 관련된 경우에 적합하다.

3. 勤める (つとめる)

  • 의미: 직장에 다니다, 근무하다.
  • 용법: 회사나 기관 등에서 일하는 것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근무하다"나 "종사하다"라는 뜻으로, 직업과 관련된 맥락에서 쓰인다.
  • 예문:
    • 彼は銀行に勤めている。
      (그는 은행에 다닌다.)
    • 私は10年間教師として勤めた。
      (나는 10년간 교사로 근무했다.)
  • 특징: 직장이나 조직에서의 근무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며, "務める"보다 일상적이고 실질적인 느낌이 강하다.

4. 勉める (つとめる)

  • 의미: 공부하다, 학문에 힘쓰다.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 용법: 원래는 학문이나 수련에 정진한다는 뜻이었으나, 현대 일본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고어(옛 표현)에 가깝다. 대신 「勉強する」(べんきょうする)가 대체로 사용된다.
  • 예문:
    • 学問に勉める。
      (학문에 힘쓰다.)
      → 현대에는 "学問を勉強する"로 표현.
  • 특징: 문어체나 고전적인 문맥에서만 볼 수 있으며, 일상会話에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비교와 구분 포인트

한자 의미와 주요 사용 상황에 따라 구분

 

務める 역할/임무 수행 공식적인 직책, 책임
努める 노력하다 목표를 향한 주관적 노력
勤める 직장에 다니다 직업, 근무와 관련된 상황
勉める 공부에 힘쓰다 고어, 현대에서는 거의 사용 안 함

사용 팁

  • 문맥을 보고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 "회사에서 ~한다" → 「勤める」
    • "목표를 위해 ~한다" → 「努める」
    • "역할을 ~한다" → 「務める」
  • 「勉める」는 현대 일본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으니, "공부하다"를 표현할 때는 「勉強する」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