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를 모실 때는 지방을 쓴다.
◆지방을 쓰지 않아도 되는 경우
①신주를 두는 경우
-지방은 신주를 대신하는 것이다.
②영정사진이나 초상화를 두는 경우.
-요즘은 영정사진이나 초상화로 지방을 대신하는 경우가 많다.
지방은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가 끝나면 반드시 소각해야 하기 때문에, 매번 제사 때마다 지방을 쓰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다 보니, 막상 지방을 쓰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
오늘은 제사 지방 쓰는 법을 정리해보았다.
■제사 지방 쓰는 법
한지에 쓰며 규격은 가로 6cm, 세로 22cm이다.
(한지가 없는 경우는 a4용지로 대신하기도 한다.)
●아버지의 경우 지방 쓰기
顯考學生府君神位
현고학생부군신위
顯(현)은 '존경하다'는 의미이다.
考(고)는 '아버지'. 顯考→존경하는 아버지
學生(학생)은 '벼슬을 안 한 경우'다.
*만약 벼슬을 했다면 벼슬을 적는다.
府君(부군)은 '남자 조상'을 뜻한다.
神位(신위)는 '고인이 있는 자리'를 의미한다. 즉 '임하소서'.
●어머니의 경우 지방 쓰기
顯妣孺人(본관과 성)神位
현비유인(본관과 성)신위
顯(현)은 '존경하다'는 의미이다.
妣(비)는 '어머니'. 顯妣→존경하는 어머니
孺人(유인)은 남편의 벼슬이 없었을 때 적는다.
*여자는 남편의 벼슬에 따라 만약 나라로부터 받은 貞敬夫人(정경부인)이나, 貞夫人(정부인) 등의 호칭이 있다면 적는다.
본관과 성(어머니의 본관과 성을 적는다. 예를 들어 '해주 최씨')
●아버지와 어머니를 함께 모시는 경우 지방 쓰기
아버지와 어머니가 모두 돌아가셔서 함께 모시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항상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적는다.)
●그 외 직계가족 지방 쓰기
할아버지: 조고(祖考)
할머니: 조비(祖妣)
증조할아버지: 증조고(曾祖考)
증조할머니: 증조비(曾祖妣)
제사 문화가 언제까지 계속될지는 알 수 없다.
제사는 단순히 의례가 아닌 조상에 대한 고마움과 감사함을 잊지 않는 것이다.
사는 동안 효를 다하고 돌아가시면 그 고마움을 잊지 않아야겠다.
'정보공유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상예절/장례식장 예절 간단 정리 (0) | 2022.06.22 |
---|---|
경주 정씨(慶州鄭氏) 양경공파(良景公派) 이야기/경주 정씨 항렬표 첨부 (0) | 2022.06.17 |
제사상 차리는 법 (0) | 2022.06.13 |
네이버 쿠키 인상/네이버 쿠키 원래 가격으로 사는 법 (2) | 2022.06.08 |
1년 계약직 퇴직금 및 1년 계약직 연차수당에 관한 간단 정리 (4) | 2022.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