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건강

합성 계면활성제 종류와 합성 계면활성제가 인체에 해로운 이유

by 휴식맨 2022. 5. 5.
반응형

 계면활성제란, 물과 기름을 섞이게 해 주는 제재를 말한다.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세정제와 유화제다.

 세정제는 더러움을 씻어내는 용도로 세제, 목욕용품, 샴푸 등이고, 유화제는 수용성 성분과 지용성 성분을 적절하게 배합하는 용도로 화장품을 생각하면 된다.

 이처럼 일상에서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제품은 쉽게 접한다.

 일상의 제품이기에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다.

 계면활성제 중에서 인체와 자연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 바로 '합성 계면활성제'다.

 

 합성 계면활성제란, 보통 석유계 계면활성제를 말하는데, 세정력이 굉장히 좋고, 석유에서 대량으로 추출하기 때문에 원가가 싸다.

 석유계 계면활성제는 물에 분해가 안 되고 독성이 강해 물고기를 죽일 만큼 치명적이다.

 이런 독성이 강한 합성 계면활성제가 인체에 왜 해로운지,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합성 계면활성제가 인체에 해로운 이유

 1. 분해가 잘 되지 않는다.

  - 합성 계면활성제가 분해가 잘 되지 않는 이유는, 석유화학물질을 분해하는 박테리아가 지구 상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분해되지 않고 피부에 남은 합성 계면활성제는 피부막 및 각질의 지방을 녹인다. 피부막이 손상된 피부는 수분 증발 및 세균이나 바이러스 침입을 막을 수 없어 염증이 생기고 습진과 발진 등에 걸리게 된다.

 

 2. 그릇이나 옷 등에 남아 있는 합성 세제가 물로 완전히 씻기지 않아 입이나 피부를 통해 우리 몸에 스며든다.

 - 합성 계면활성제는 단백질과 지방으로 구성된 피부의 각질을 녹이며, 상처난 피부를 통해 체내 흡수된다. 피부로 유입된 계면활성제는 림프와 혈액에 침투해 심하면 내장 장애까지 일으킨다. 몸으로 흡수된 합성세제는 자연적으로 배출되지 않고 몸속의 간이나 비장, 신장 등에 축적되어 간 기능 저하나 세포 장애를 일으킨다.

 

 3. 물속으로 흘러들어간 합성 세제는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지 않고 식수로 돌아온다.

 - 일반적인 합성 세제의 생분해도는 70~90% 정도다. 나머지는 분해되지 않고 정수장에서도 걸러지지 못하며 다시 식수가 되어 우리에게 돌아온다.

 

 4. 합성 세제의 주성분인 ABS는 악성종양을 일으킨다.

 - 또한 인간에게는 정자수를 감소시키고, 어패류에게는 부화율을 떨어뜨린다는 실험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합성(화학) 계면활성제 종류

 ♣설페이트

 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2.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3. 소듐코코설페이트

 

 ※설페이트는 강력한 세정력이 필요한 곳에 주로 사용된다.

 산업용 바닥 세척제, 기름 제거제 등.

 

 ♣라우레스

 1.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2.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3.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라우레스 계면활성제는 샴푸 치약 비누 등에 함유되는 성분인데, 발암의 위험성이 높은 성분으로 밝혀지면서 피해야 할 위험성분으로 분류되고 있다.

 

 ♣트리에탄올아민

 1. 티이에이라우릴설페이트

 2. 티이에이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3. 티이에이코코일글루타메이트

 

 ※트리에탄올아민은 소독제나 유화제, 광택제에 쓰이며, 면도크림이나 샴푸 등에도 사용된다. 트리에탄올아민이 함유된 제품을 오랜 기간 사용했을 때 알레르기나 피부 독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싱크대 위에 놓여진 주방세제
싱크대 위에 놓여진 주방세제


 소중한 우리의 몸과 소중한 자연을 지키려면, 가급적 합성 계면활성제가 들어간 세제, 목욕용품, 화장품 등을 사용하지 않도록 노력해야겠다. 제품을 살 때, 반드시 뒷면의 성분표를 보고 위에 기재된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도록 하자.

 친자연, 친환경 생활용품으로 바꿔 쓰는 우리의 작은 행동이 나와 자연을 살리는 일이라 생각한다.

 

반응형

댓글